반응형
기내용 캐리어 크기 비교 | 항공사별 기내 반입 규정과 추천 사이즈 정리
항공사마다 기내용 캐리어 허용 규정이 다르기 때문에, 제대로 확인하지 않으면 탑승 당일 공항에서 추가 요금을 내고 수하물로 부쳐야 하는 낭패를 겪을 수 있습니다. 이번 글에서는 항공사별 기내 반입 허용 크기, 국제선·국내선 기준, 추천 캐리어 사이즈까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도록 정리합니다. 🧳✈️
1. 기내용 캐리어란? 🧠
- 기내용 캐리어는 항공기 탑승 시 좌석 상단 수납함(Overhead Bin)에 직접 보관하는 소형 수하물입니다.
- 일반적으로 3면(가로×세로×높이) 합이 115cm 이내, 무게는 7~10kg 미만이 기준입니다.
2. 주요 항공사별 기내 반입 허용 크기 비교 ✈️
항공사 | 크기 기준 (cm) | 무게 제한 |
---|---|---|
대한항공 | 55×40×20 | 12kg (비즈니스), 10kg (이코노미) |
아시아나항공 | 55×40×20 | 10kg |
제주항공 | 55×40×20 | 10kg |
진에어 | 55×40×20 | 12kg (기내 수하물 1개+개인 소지품 포함) |
티웨이항공 | 55×40×20 | 10kg |
에어프랑스 | 55×35×25 | 12kg (개인 소지품 포함) |
루프트한자 | 55×40×23 | 8kg |
에미레이트항공 | 55×38×20 | 7kg |
싱가포르항공 | 55×40×20 | 7kg |
📌 일부 항공사는 개인 소지품(노트북, 핸드백) 포함 기준이므로 합산 유의
3. 추천 기내용 캐리어 사이즈 💼
- 20인치 캐리어 (기내 전용)
- 보편적인 기내용 사이즈 (약 50~55cm 높이)
- 주말 여행, 2박 3일 일정에 적합
- 18인치 캐리어 (초경량)
- 저가항공 무게 제한이 엄격할 경우 유리
- 단거리 비행 또는 소형 기체 노선 적합
- 소프트케이스 vs 하드케이스
- 소프트: 확장 가능, 무게 가벼움, 주로 천 재질
- 하드: 충격 보호 우수, 내부 정리 용이, 플라스틱/폴리카보네이트 소재
4. 기내용 캐리어 선택 시 체크포인트 🔍
- 확장 지퍼 기능: 위탁 짐으로도 활용하고 싶다면 필수
- 바퀴 퀄리티: 360도 회전 바퀴로 이동 편의성 확보
- 핸들 높이 조절: 키에 맞는 높이로 스트레스 최소화
- 무게 자체가 가벼운 제품: 기내용은 2.5kg 이하 제품 추천
- TSA 잠금장치 유무: 미국 입국 시 보안 검색 대응
마무리 정리 🎯
기내용 캐리어는 단순히 작다고 좋은 것이 아니라, 항공사 규정에 맞으면서도 실용적이고 가벼운 제품을 고르는 것이 중요합니다. 여행 계획 시 사용하는 항공사의 수하물 기준을 반드시 사전 확인하고, 알맞은 캐리어로 불필요한 비용과 스트레스를 줄이는 똑똑한 여행을 준비해보세요!
반응형
'여행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해외에서 카드 분실 대처 | 여행 중 신용카드·체크카드 잃어버렸을 때 (0) | 2025.05.21 |
---|---|
여행용 멀티 어댑터 추천 | 국가별 콘센트 호환과 USB 충전까지 가능 (0) | 2025.05.21 |
입국 심사 시 주의사항 | 해외 공항에서 당황하지 않는 통과 전략 (0) | 2025.05.21 |
비행기 환승 꿀팁 | 공항 갈아탈 때 실수 없이 빠르게 이동하는 방법 (0) | 2025.05.21 |
모바일 티켓 사용 후기 | 공항, 공연, 교통까지 간편했던 실제 경험 공유 (1) | 2025.05.20 |